이번 레터에는 이런 내용들이 담겨 있어요.
👉 Baseline: 서로 경쟁하며 성장하는 GAN에 대해 알아봐요. 👉 Playground: Veo3를 이용해 영상을 생성해봐요! 👉 What's News?: 최신 뉴스들을 큐레이팅했어요.
|
|
|
위조지폐범과 경찰 이야기를 들어보신 적 있나요? 위조지폐범은 점점 더 정교한 가짜 돈을 만들고, 경찰은 그 가짜를 더 잘 알아보려고 노력합니다.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위조지폐는 진짜와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정교해지죠. AI 세계에도 이런 흥미진진한 경쟁이 있습니다. 바로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이라는 기술인데요. 두 개의 AI가 서로 경쟁하면서 놀라운 창작물을 만들어내는 방법입니다. |
|
|
# 서로 겨루며 완벽해진다,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은 2014년 이안 굿펠로우(Ian Goodfellow)라는 연구자가 발명한 기술입니다. 이름을 풀어보면 "생성적 적대 신경망"이라는 뜻인데, 쉽게 말해 "서로 경쟁하며 뭔가를 만들어내는 AI"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GAN에는 두 명의 선수가 있습니다:
생성자(Generator): 가짜를 만드는 AI 진짜처럼 보이는 가짜 이미지, 음성, 텍스트 등을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마치 완벽한 위조지폐를 만들려는 위조지폐범과 같습니다. 처음에는 엉성한 가짜를 만들지만, 계속 연습하면서 점점 진짜 같은 작품을 만들어냅니다.
판별자(Discriminator): 진짜와 가짜를 구분하는 AI 진짜 데이터와 생성자가 만든 가짜 데이터를 받아서 "이건 진짜, 이건 가짜"라고 판단하는 역할입니다. 경찰이 위조지폐를 찾아내는 것과 비슷하죠. 생성자가 더 정교한 가짜를 만들수록, 판별자도 더 예리하게 구분하는 능력을 기릅니다.
두 AI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서로를 발전시킵니다:
- 생성자가 가짜 작품을 만듭니다: "이번엔 정말 진짜 같은 고양이 사진을 만들어볼까?"
- 판별자가 진짜와 가짜를 구분합니다: "음, 이 고양이는 귀가 좀 이상하네. 가짜야!"
- 생성자가 피드백을 받고 개선합니다: "귀를 더 자연스럽게 만들어야겠구나."
- 판별자도 더 까다로워집니다: "이번엔 더 세심하게 봐야겠어."
이런 과정을 수천 번, 수만 번 반복하면서 생성자는 진짜와 구별하기 어려운 완벽한 가짜를 만들 수 있게 됩니다.
GAN은 특히 영상 생성과 편집의 핵심 기술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덕분에(?) 존재하지 않는 사람의 얼굴, 새로운 풍경, 보지 못한 스타일의 그림 등을 AI로 만들어 낼 수 있게 됐습니다. 그리고 이를 악용하는 딥페이크도 생겨났죠😭. |
|
|
# Veo3로 영상 생성하기
요즘 유튜브나 릴스에 AI가 만든 영상들이 많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영상 생성은 어떻게 하는 걸까요? 영상 생성 모델에도 여러 종류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호평을 받고 있는 Veo3를 활용해 영상을 한번 만들어보겠습니다.
Veo3는 구글에서 나온 영상 생성 모델입니다. Veo3를 쓰기 위해서는 Google AI Pro(유료 서비스)를 결제해야 하는데요. 구글 AI를 처음 쓰신다면 한 달은 무료이니, 일단 가입 후에 결제 해지를 하시면 됩니다. Pro를 가입했다면, Google Gemini에 들어가 동영상을 만들어달라고 해도 되고, Flow로 들어가 작업하셔도 됩니다.
영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구체적이고 상세한 설명이 중요합니다. 프롬프트에 [주제, 스타일, 촬영 방식, 분위기, 기술적 세부사항] 등이 들어가야 합니다. 예를 들어 달에 착륙한 우주비행사가 셀카를 찍는 모습을 만들본다면, 이런 프롬프트를 작성해 넣을 수 있습니다.
|
|
|
달 표면에서 우주비행사가 셀카봉을 들고 즐겁게 방방 뛰며 셀카를 찍고 있다. 뒤로 아름다운 지구가 보인다.
카메라: 천천히 줌인하며 우주비행사에게 집중한 후 다시 뒤로 물러나 지구 전체를 보여줌.
조명: 강한 태양빛과 지구에서 오는 은은한 반사광.
색감: 회색 달 표면, 하얀 우주복, 푸른 지구, 검은 우주 배경의 대비.
음향: 헬멧 속 숨소리, 우주복 움직임 소리, 웅장한 오케스트라 음악.
영화적 화질, 현실적 물리법칙, 자막 없음. |
|
|
영상 생성 팁
- 길이 조절: Veo3는 8초 정도의 짧은 클립을 생성합니다. 긴 영상이 필요하다면 여러 클립을 연결하세요.
- 일관성 유지: 같은 캐릭터나 장소를 여러 장면에서 사용하려면 매번 동일한 설명을 포함시켜야 합니다.
- 기술적 용어 활용: "cinematic", "slow motion", "aerial view", "close-up" 같은 영화 촬영 용어를 사용하면 더 전문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어요.
|
|
|
요즘엔 무슨 일이?
기업
- 오픈AI 직원 빼갔던 메타, 초지능 연구소 공식 출범시켰다 (링크)
- 퍼플렉시티 "검색이 아니라 답 만든다" ... AI로 정보접근 대혁신 (링크)
- 네이버, 최상급 언어 추론 AI 'HyperCLOVA×THINK' 공개 (링크)
- CJ ENM, 'AI스튜디오' 도약 선언 …장편 시리즈도 AI로 만든다 (링크)
정부/국가
- 미국 의회, 정부 기관서 중국 AI 사용 금지법 발의 (링크)
- "50조弗 시장 잡아라"…정부 '피지컬 AI' 육성 로드맵 만든다 (링크)
학계
사회
- 윔블던에 'AI 선심' 등장...사상 첫 인간 대체 (링크)
- "AI 데이터센터, 일반적이지 않은 전력 소비 패턴이 더 큰 문제"...대규모 정전 가능성 제기 (링크)
- 논문에 숨긴 'AI 비밀 지령문'…카이스트까지 '발칵' (링크)
|
|
|
오늘 뉴스레터 어떠셨나요?
의견을 남기고 싶다면 eddie.workwithai@gmail.com로 메일을 보내주세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