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석학들이 AI의 위험성에 대해서 경고합니다. 미래에는 AI가 인간을 통제하고 지배하지 않을까하는 두려움도 있습니다. AI는 그냥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의해 돌아가는 건데, 이게 어떻게 사람을 지배할 수 있다는 걸까요? 유발 하라리가 경고하는 이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싶다면 아래 글을 읽어보세요!
업스테이지가 올해 하반기에 추론형 AI 모델을 공개한다고 발표했어요. LG AI 연구원은 '엑사원 딥'을 지난 3월 18일에 선보인 데 이어서 업스테이지도 분주하게 쫓아가는 중이에요. 네이버도 '하이파클로바X' 기반 추론 모델을 개발 중이라고 하니 국내에서도 추론 모델 개발을 위한 경쟁이 치열해 보여요.
일반적인 LLM이 학습된 패턴을 바탕으로 정보를 생성한다면, 추론형 AI는 문제를 단계별로 분해하고 각 단계마다 추론 단계를 거쳐 결론에 도달해요. 가설을 세우고 검증하는 방식으로 마치 인간이 문제를 푸는 것과 비슷하죠. 그래서 추론형 AI는 수학, 과학, 코딩 등 연구와 교육 분야에서 특히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답니다.
네이버가 오는 27일부터 검색 결과를 AI가 요약해주는 'AI 브리핑' 기능을 선보인대요. 마치 도서관에서 책을 찾아주는 친절한 사서처럼, 검색한 정보의 핵심을 쏙쏙 뽑아 보여준답니다!
'공식형·멀티출처형', '숏텐츠형', '플레이스형' 등으로 나뉘어 다양한 검색 요구를 충족시킬 예정이에요. 예를 들어 '교토 여행'을 검색하면 꼭 먹어야 할 음식이나 인기 호텔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게 해준대요. 올해 안에 이미지 검색과 다국어 서비스도 확대할 계획이라고 합니다!